Programing_Java

Section#8 _ 메서드 본문

MENTOR JAVA

Section#8 _ 메서드

Joyfullyever 2025. 1. 15. 19:31

#1 메서드란?

: 클래스 안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코드들을 따로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놓은 집합, 필요에 따라 이 집합을 호출해 사용 가능

: 메서드를 구현함으로써, 같은 내용의 코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음

→ 메서드를 필요할 때 마다 재사용이 가능, 중복된 코드를 제거할 수 있음

: 코드들의 집합을 따로 분리하는 것을 "모듈화" 라고 함 → 코드를 읽을 때 가독성이 좋으며, 프로그램을 수정할 때 더욱 빠르고 쉽게 가능

 

#1-1 메서드 선언

선언부와 실행 영역으로 구성

접근 제한자 반환타입 메서드 이름 ()

// 기능을 수행할 코드

 

}

- 접근 제한자 : 변수와 마찬가지로 해당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 결정

- 반환 타입 : 블록 안에 있는 코드들을 실행한 후 결과값을 반환 → 어떤 타입으로 반환할 것인지 타입을 미리 정해줌 (반환 값이 없을 경우 void)

- 메서드 이름 : 변수처럼 이름을 가지고 호출할 때 사용

 

접근제한자~() : 선언부

{} : 실행 영역

 

#1-2 메서드 호출

// 메서드 호출 방법

메서드가 있는 클래스 참조 변수 = new 클래스 ();
참조변수.메서드 이름();

Book b = new Book();
b.read();

 

#2 매개변수와 return

#2-1 매개변수

: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서드는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할 인수를 받을 수 있음  매개변수

접근 제한자 반환타입 메서드 이름 (자료형 변수명) {

// 기능을 수행할 코드

 

 

}

메서드를 호출할 때 같이 전달받는 변수를 메서드 안에서 사용할 지역변수에 담는 것

 

#2-2 return

: 필요에 따라 메서드로부터 실행한 결과값을 되돌려 받는 것 → 리턴값(return value)

: 메서드가 반환할 값이 있다면 반드시 return 구문을 통해서 결과값을 반환해주고 메서드를 종료 → 없다면 컴파일 에러 발생

: 결과값을 저장할 변수의 자료형은 결과값의 자료형과 동일하거나 자동 형 변환이 될 수 있는 자료형이어야 함

: return 문은 결과값 반환과 동시에 메서드를 종료시키는 구문. return 문 뒤에 코드를 작성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

 

#3 getter & setter 메서드

: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 메서드를 통해 필드의 값을 불러오고,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방법을 이용 → 필드를 사용하려면 메서드를 이용하도록

- 장점

1) 필드 보호 가능

2) 메서드에서 필드에 들어갈 값을 검증한 후 필드에 대입

3) 외부에서 사용할 필드의 값을 정제한 후 값을 제공할 수 있음

 

#3-1 setter 메서드

: 필드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검증을 먼저 할 수 있음

: 필드의 값을 객체 외부에서 직접 넣지 못하도록 필드에 접근을 제한

: private 접근 제한자

정리 : private 필드의 값을 대입하는 방법

 

#3-2 getter 메서드

: private 필드를 객체 외부에서 값을 불러오기 위해 구현하는 메서드

: private 필드는 객체 외부에선 접근 불가능, 필드가 선언된 클래스에서는 어디서든 접근 가능 → 메서드를 통해서 값을 전달 가능

정리 : 객체 외부에서 private 필드의 값을 구하기 위해 getter 메서드 사용

'MENTOR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ction#10 _ 상속  (0) 2025.01.17
Section#9 _ 생성자  (0) 2025.01.16
Section#7 _ 클래스  (1) 2025.01.14
Section#6 _ 배열 []  (0) 2025.01.07
Section#5 _ 제어문-2  (0) 2025.01.06